주얼인 뉴스톡

주얼인 뉴스

JNA

China eyes revival in gold, platinum jewellery

jewelin 25-01-16 17:55

f83832db8d1172ed045db758b88fd511_1737017804_18.jpg
 

중국의 금과 플래티늄 주얼리 산업은 지정학적 불확실성과 새로운 미국 경제 정책 속에서도 제품과 디자인 혁신을 바탕으로 2025년에 회복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플래티늄의 부활

 

세계 플래티늄 투자 협의회(WPIC)의 최신 분기별 보고서에 따르면, 금 가격이 전례 없는 수준(2024 11월 기준 28% 상승)에 도달하면서, 가격에 민감한 소비자들이 더 저렴한 대안을 찾았고, 플래티늄 주얼리에 대한 열광이 다시 불붙었습니다.

2024 3분기 조사에 따르면, 플래티늄 주얼리 수요는 2023년의 저점을 넘어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미국과 인도의 주얼리 제작 급증에 힘입어 2025년에도 2년 연속 성장이 예측됩니다.

한편, 플래티늄족 금속의 주요 시장인 중국의 플래티늄 주얼리 수요는 2014년 약 200만 트로이 온스를 정점으로 2023년에는 79%나 급락했습니다.

2024년에도 국내 경제 불확실성 속에서 소비자 지출이 약해지면서 둔화가 지속되었습니다. 그러나 보고서에 따르면, 주요 리테일러들이 남성복과 유니섹스 디자인을 포함한 더 다양한 소비자에 어필하는 재고와 제품 혁신을 보충하면서 2025년에는 어느 정도 회복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수요를 자극하기 위해서는 제품 혁신의 경계를 넓혀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플래티늄 주얼리는 제품 종류와 디자인 면에서 다른 주얼리들에 비해 뒤처져 있기 때문에 기업이 제품 개발에 대한 투자를 늘리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2024 12 9일 선전에서 열린 중국 플래티늄 그룹 메탈(China Platinum Group Metal) 연례 컨퍼런스에서 중국 내셔널 아트 앤 트래프트(China National Arts & Crafts (Group) Corp의 부사장인 정펑(Zheng Feng)이 말했습니다.

플래티늄 주얼리는 중국에서도 수입 상품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플래티늄 주얼리를 "국산화"할 필요성이 강조됩니다.

정은 "우리는 플래티늄의 문화적 의미를 탐구하고 확립해야 하며, 플래티늄의 본질을 전통 중국 문화와 융합하는 동시에 현대 사회의 뉘앙스에 맞춰 중국 소비자를 사로잡아야 합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보석에 대한 수요는 약한 반면, WPIC는 중국에서 플래티늄 바와 코인에 대한 투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2024년에는 2023년 대비 대형 바(500g 이상)에 대한 수요가 17% 증가할 것으로 보고했습니다.

WPIC CEO인 트레버 레이먼드(Trevor Raymond) 2025년 초 광저우 선물거래소(GFEX)가 플래티늄과 팔라듐 선물 계약을 출시하면, 중국의 산업, 보석, 자동차 및 투자 분야에서 플래티늄 수요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습니다. 이는 플래티늄 사용자가 낮은 프라이스 리스크를 관리할 수 있게 되기 때문입니다.

 

탄력있는 금

 

투자 수요에 대한 긍정적인 신호에도 불구하고, 중국 금 주얼리 시장은 소비자들이 사치품 구매보다 투자를 우선시함에 따라 수요가 현저히 감소했습니다.

월드 골드 카운슬(WGC)의 자료에 따르면, 중국의 금 보석 수요는 2024 1~3분기 동안 373톤으로 2010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반면 같은 기간 동안 골드 바와 코인 투자(253) 11년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WGC "국내 금 가격 상승은 2024년 중국의 금 소비에 양날의 검이 되었습니다."라고 언급했습니다. "강력한 금 가격 실적과 경제 성장 둔화로 인해 금 주얼리 소비자의 구매력이 떨어졌지만, 수익률 감소, 변동성 있는 주식 시장, 약한 현지 통화와 결합하면서 금 투자자를 유치할 수 있었습니다."라고 WGC는 설명했습니다.

2024 12 10일 선전에서 개최된 중국 국제 금 시장(China International Gold Market) 연례 컨퍼런스에서 WGC CEO 데이비드 테이트(David Tait)는 테이트는 현대적인 디자인과 젊은 세대에게 매력적인 경제성 덕분에 2024년 중국 금 주얼리 부문에서 하드 순금 주얼리가 두각을 나타냈다고 강조했습니다.

"중국 산업정보화부는 최근 하드 퓨어 골드 주얼리에 대한 새로운 산업 표준을 발표했으며, 2025 5 1일부터 정식 시행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산업이 지속 가능한 성장 경로를 유지하고 현대적인 미학과 디자인으로 더 많은 젊은 소비자를 유치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라고 테이트는 말했습니다.

 

그는 금 주얼리 부문이 성장을 견인하기 위해서는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발전이 필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WGC 북미 지역 수석 시장 전략가인 조셉 카바토니(Joseph Cavatoni)는 미국의 통화 정책과 지정학적 환경에서의 역할이 2025년 금 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카바토니는 "미국의 정치와 행정 정책이 다시 선두 자리를 차지할 것이며, 아마도 금에 대한 글로벌 소비자 행동의 가장 큰 원동력이 될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

한편, UBS의 귀금속 전략가인 조니 테베스(Joni Teves)는 전략적 다각화와 안전 자산 흐름, 중앙은행 매수, 더 높은 가격에서도 물리적 수요의 상대적 회복성이 모두 금의 회복력 있는 가격에 기여했다고 말했습니다. 테베스는 또한 지속적인 금 랠리가 2025년에 새로운 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으며, 평균 예측치는 온스당 2,800달러이고 연말 목표는 온스당 2,900달러입니다.

"우리는 금이 비싸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지금 금 주얼리의 가격이 비싸더라도, 우리는 역사를 통해 소비자들이 결국 더 높은 가격에 적응하는 것을 보았습니다."라고 테베스는 말했습니다.


관련링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주얼인 뉴스

Total 5,770 / 21 page
URL입력:
Title입력:

회사소개  |  광고제휴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주)코리아주얼리센터  |  대표이사 김성기
 |  서울시 종로구 돈화문로 41 금성빌딩 3층
사업자등록번호 101-87-01579  |  info@kjex.kr
 |  전화 : 02-744-5858  |  팩스 : 02-2686-6713
Copyright © jewelin.kr All Rights Reserved.
TOP